Intro
집에 굴러다니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서버를 하나 구축해봤습니다.
서비스를 호스팅하고 싶었지만, 저는 돈이 없는 그지기 때문에 직접 서버를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ㅠ
사실 라즈베리파이 하나만 있어도 제법 많은 걸 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로 개인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기록하려 합니다.
환경
제가 서버를 구축한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라즈베리파이 4B (RAM 4GB)
- microSD 카드 (16GB 이상)
- 무선 공유기 (저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였습니다.)
- Raspberry(기본 세팅은 어느정도 해뒀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현재 IP 확인
아래 명령어를 통해 DHCP가 할당해준 IP를 확인합니다.
ifoncig

저는 공유기로부터 192.168.0.83 이라는 아이피를 할당받은 상태였습니다.
고정 IP 할당
나중에 라즈베리파이의 IP가 재부팅해도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 DHCP 고정 IP 할당(예약) 설정을 해줬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Wi-Fi를 껐다 켜거나 라즈베리를 재시작해도 IP가 유지됩니다.
포트포워딩
공유기에서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주는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냥 22포트를 22포트로 서빙해도 되지만
그럼 너무 대놓고 ssh구멍입니다~ 알려주는거 같으니 9922를 통해 들어오도록 했습니다..
이 설정을 완료하면 외부에서 공인 IP와 외부 포트를 통해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인 아이피는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을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SSH 설정
라즈베리파이를 외부에서 SSH로 접속하기 위해 다음 설정을 진행했습니.
SSH 활성화
sudo systemctl enable ssh
sudo systemctl start ssh
라즈베리파이는 기본적으로 비밀번호 기반 SSH 접속이 가능하며, 이 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SSH를 비밀번호 기반으로 운영할 경우 무작위로 로그인 시도를 하는 '브루트포스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공개키 인증 방식, 포트 변경, fail2ban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공개키 인증 방식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공개키 인증
로컬 PC에서 공개키/비밀키 생성
ssh-keygen -t rsa -b 2048
라즈베리파이에 공개키 등록
(공개키를 나르는 방법은 이메일로 전송하고 받아서 하는게 편할겁니다 rsa 2048은 겁나게 길어요.)
mkdir -p ~/.ssh
vi ~/.ssh/authorized_keys
공개키 붙여넣기 후 저장, 그리고 권한 설정
chmod 700 ~/.ssh
chmod 600 ~/.ssh/authorized_keys
이후 /etc/ssh/sshd_config에서 필요 시 PasswordAuthentication no로 변경하고 sudo systemctl restart ssh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접속 테스트
공인 아이피는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을 통해 받았다면 아래와 같이 나올 겁니다.
위 화면에서 등록 IP주소가 공인IP입니다.
아래 명령어로 ssh 접근을 해보면 잘 되는걸 볼 수 있지요.
ssh -i ~/.ssh/개인키파일 user@공인IP -p 외부포트
마무리
간단 세팅을 해봤는데
집에 라즈베리파이를 놔둘 공간이 없어 그냥 책상 옆에 올려두고 운영 중입니다. 허허
일단 하나로 MySQL과 DRF도 도커 없이 충분히 구동 가능해 보여서 이걸로 간단한 서비스를 구축해보려 합니다.
뭐... 추후엔 라즈베리파이 여러 대를 묶어서 클러스터 환경을 만들고, 쿠버네티스까지 얹어보는 것도 목표입니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 5MB 파일 테스트 시 에러율 급증 - 트러블슈팅 기록 (0) | 2025.06.03 |
---|---|
[DevOps] JSON 정적 파일 서빙에 최적화된 웹 서버는? - 벤치마킹테스트 (0) | 2025.06.03 |
[DevOps] 모니터링 환경 구축 Prometeus, Grafana, Loki, Promtail - Modie (0) | 2025.04.11 |
[DevOps] 백엔드 Prod 서버 ASG 기반 롤링 배포 자동화 - Modie (0) | 2025.04.08 |